1. 산업 정의 및 구조
자동차 산업은 완성차 제조, 부품 공급, 판매·서비스로 구성된 종합 제조·서비스 산업입니다.
현대차, 기아 등 완성차 기업과, 현대모비스, 한온시스템 등 부품 기업이 협력하며 글로벌 밸류체인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 완성차 제조: 승용차, SUV, 상용차 등 제조·판매
- 부품 산업: 엔진, 전장, 배터리, 경량화 부품 등 공급
- 판매·서비스: 자동차 금융, AS·렌탈, 모빌리티 플랫폼
2. 산업 성장성
자동차 산업은 전통적으로 경기 민감 산업이지만, 최근에는 전동화(EV)·친환경차 전환으로 구조적 성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전기차·수소차 전환 → 부품·플랫폼 재편
- 자율주행·커넥티드카 → 소프트웨어·데이터 경쟁력 중요
- 글로벌 친환경 규제 (탄소중립 목표) → 내연기관 중심의 기존 생태계 변화
예를 들어,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은 2030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50% 이상으로 높이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3. 외부 요인 분석 (PEST 분석)
| 요인 | 내용 |
|---|---|
| 정치 (P) | 친환경차 지원 정책, 배출가스 규제 강화, 무역·관세 이슈 |
| 경제 (E) | 금리, 경기, 원자재(철강·알루미늄) 가격 변동성 |
| 사회 (S) | 친환경 소비 트렌드, 차량 공유·모빌리티 선호 증가 |
| 기술 (T) |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등 |
4. 산업 경쟁구도 (Porter의 5 Forces)
- 기존 경쟁자: 글로벌 완성차 기업(도요타, 폭스바겐, 현대차 등) 간 경쟁 심화
- 신규 진입자: 테슬라·리비안 같은 전기차 급성장, 중국 전기차 점유율 확대
- 대체재 위협: 대중교통·공유 모빌리티, 마이크로 모빌리티(전동킥보드 등)
- 공급자 협상력: 23년 까지는 원자재·배터리 공급망 협상력 높음 (광물·반도체 부족 영향). 25년 이후로 배터리 공급 과잉? 및 전기차 시장 과잉으로 협상력 낮음.
- 구매자 협상력: 친환경차·스마트카 선택지 다양화로 구매자 선택권 강화
5. 수익성 및 밸류에이션
- 영업이익률: 전통 완성차는 4~8%, 전기차·배터리 분야는 10% 이상 가능성
- PER: 전통차 6~9, 전기차·배터리 부문 20 이상 (성장성 반영)
- PBR: 0.5~1.0 수준으로 전통차는 자산 저평가 상태
예를 들어, 2024년 기준 현대차는 PER 6.3, PBR 0.7로 글로벌 완성차 대비 저평가되며, 전기차·수소차 분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중입니다.
6. 산업 전망
긍정 요인
- 전기차·수소차 보급 확대,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 지원
- 모빌리티 플랫폼·스마트카·자율주행 시장 성장성
- 원자재.배터리 가격 하락으로 원가부담 감소 (25년 기준?)
부정 요인
- 글로벌 수출 부진 심화
- 경기 둔화 시 소비 위축 (자동차는 내구재 소비 축소 우려)
-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마진 압박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자율주행이라는 구조적 변화를 맞이한 동시에, 전통적 경기 민감성도 여전히 강하게 작용합니다.
따라서 기술 혁신, 공급망 관리, 각 기업의 전동화 전략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