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분석할 때 많은 사람들이 기업의 실적, PER, PBR부터 보곤 합니다. 저도 마찬가지죠.
기업이 마음에 들었다면 하나 더 살펴봐야 하는 것이 바로 ‘산업 섹터 분석’입니다.왜냐하면, 기업은 항상 산업이라는 배경 위에서 성장하거나 침체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산업 섹터 분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블로그 형식으로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산업 섹터란 무엇인가?
산업 섹터는 비슷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모여 있는 산업군을 뜻합니다.예: 반도체, 금융, 자동차,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등
대표적인 분류체계 는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국내장이라면 krx분류체계를 보시면 되겠네요. GICS (글로벌 산업 분류 기준)KRX (한국거래소 산업 분류)
산업의 성장성 파악하기
✔️ 시장 규모와 성장률 확인
✔️ 성장의 원동력
🔎 산업 생애주기: 도입기 → 성장기 → 성숙기 → 쇠퇴기
외부 환경 분석 (PEST 분석)
| 요인 | 내용 |
|---|---|
| 정치적 요인 (P) | 규제, 보조금, 무역 정책 |
| 경제적 요인 (E) | 금리, 환율, 경기 흐름, 물가 |
| 사회적 요인 (S) | 인구 구조, ESG 트렌드 |
| 기술적 요인 (T) | 신기술 도입, 디지털 전환 |
경쟁 구도 분석 (Porter의 5 Forces)
이 분석을 통해 산업의 안정성과 경쟁 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수익성 지표와 밸류에이션
산업 전망 정리
예시: 금융 섹터 분석
정리하면!
기업 분석도 중요하지만, 그 기업이 뛰노는 운동장(=산업)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투자자의 기본기입니다.산업 분석을 제대로 하면,
‘왜 이 기업이 잘나가는지’,
‘이제 어디로 향할 것인지’를
한층 더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추후에는 이 산업 분석 위에 개별 기업 분석을 더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