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가치 평가법으로 본 기업은행

상대가치평가법으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해보는 것은 DCF평가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쉬운편입니다.

DCF 평가법으로 본 기업은행편과 비교해보시길 바랍니다.

상대가치평가법은 같은 산업섹터에 있는 동일한 비지니스 기업과 비교하여 가치평가를 해보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확한 가치보다는 고평가/저평가 여부를 확인해보는 방법이라고 보는게 더 맞을 수도 있을것 같네요.

자 기업은행에 대해서 상대가치 평가법으로 실행해봅니다. 2024년 결산 자료를 기반으로 진행합니다.

기업은행(IBK)

항목
EPS (주당순이익)3,316원
BPS (주당순자산가치)42,570원
PER (실제)4.6배
PBR (실제)0.36배

Peer Group (4개 주요 은행지주)

은행PER (배)PBR (배)
신한지주5.850.45
하나금융지주4.410.37
우리금융지주3.710.33
KB금융지주6.520.54

위의 자료는 naver에서 가져온 2024년 결산기준 자료입니다.

Peer Group 평균 계산

PER 평균: (5.85+4.41+3.71+6.52) / 4= 20.49 / 4 = 5.1225배

PBR 평균: (0.45+0.37+0.33+0.54) / 4 = 1.69 / 4 = 0.4225배

🔵 Peer Group 평균 = PER 5.12배, PBR 0.42배

기업은행 상대가치 계산

(1) PER 기반 적정주가

적정주가 = EPS×Peer Group 평균 PER = 3,316 × 5.1225 = 16,983원

🔵 PER 기반 적정주가 = 약 16,980원


(2) PBR 기반 적정주가

적정주가 = BPS × Peer Group 평균 PBR = 42,570 × 0.4225 = 17,972원

🔵 PBR 기반 적정주가 = 약 17,970원

최종 정리

평가 방식적정 주가 (원)
PER 방식약 16,980원
PBR 방식약 17,970원

정리 및 요약

2024년 결산 기준 기업은행 실제 PER은 4.6배로, Peer Group 평균 5.12배보다 낮고, PBR도 0.36배로, Peer Group 평균 0.42배보다 낮습니다.
둘다 기준으로보면 2024년 결산 기준으로보면 Peer Group대비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죠.

2025년 5월초 기준 기업은행의 주가는 15200원 수준으로 PER, PBR 방식으로 구한 상대가치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타 금융그룹에 비해 최근 배당주로 각광받고 있는 금융주들의 상승세에 비해 약합니다. (실제 기업은행의 배당률은 7~8% 수준으로 꽤 높습니다.)

저평가 되어 있다고도 볼 수 있지만, 어떻게 보면 주가가 상대적으로 약한데는 이유가 있지 않나 하는데요. 그 이유중의 가장 큰 부분은 타 금융사대비 정부정책과 규제의 영향을 크게 받는 국책은행으로서의 역할때문으로 봅니다.

이 디스카운트를 적용한다면 상대가치평가법으로 본 주가는 확연한 저평가라고 보기는 어렵고, 적정수준이거나 약간 저평가라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