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섹터 분석

산업 섹터 분석중 최근에 많은 비중을 싣고 있는 금융 섹터를 살펴봐야겠습니다. 1. 산업 정의 및 구조 금융 섹터는 자본의 흐름을 관리하고 중개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하위 산업으로는 은행, 보험, 증권, 카드, 자산운용 등이 있으며, 기업과 개인에게 대출, 예금, 투자, 보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런 기업중에 배당주들이 많이 포진하고 있죠. 2. 산업 성장성 금융 섹터는 전통적으로 … Read more

산업 섹터 분석

주식을 분석할 때 많은 사람들이 기업의 실적, PER, PBR부터 보곤 합니다. 저도 마찬가지죠. 기업이 마음에 들었다면 하나 더 살펴봐야 하는 것이 바로 ‘산업 섹터 분석’입니다.왜냐하면, 기업은 항상 산업이라는 배경 위에서 성장하거나 침체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산업 섹터 분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블로그 형식으로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산업 섹터란 무엇인가? 산업 섹터는 비슷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모여 … Read more

상대가치 평가법으로 본 기업은행

상대가치평가법으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해보는 것은 DCF평가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쉬운편입니다. DCF 평가법으로 본 기업은행편과 비교해보시길 바랍니다. 상대가치평가법은 같은 산업섹터에 있는 동일한 비지니스 기업과 비교하여 가치평가를 해보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확한 가치보다는 고평가/저평가 여부를 확인해보는 방법이라고 보는게 더 맞을 수도 있을것 같네요. 자 기업은행에 대해서 상대가치 평가법으로 실행해봅니다. 2024년 결산 자료를 기반으로 진행합니다. 기업은행(IBK) 항목 값 … Read more

기업은행의 DCF 분석법을 적용해보자.

DCF 분석법을 앞선 글에서 다룬적이 있다. 주식내재가치 분석과 DCF 분석법의 3대 핵심 요소이제 한번 DCF 분석을 실제로 수행해보자. FCF 분석 기업은행의 FCF를 분석하기 위해서 당기순이익과 대출의 연체금액을 이용했다. 은행은 제조업처럼 CAPEX(설비투자)가 크지 않고, 대신 운전자본 변동을 대출채권 부실률와 유사한 중기대출 연체액으로 잡았다. 충당금이 있어 대출채권 부실률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실질적으로 운전자본에 영향을 주는 연체액이 더 적합하지 … Read more